공공부문 SaaS 이용 가이드라인: 클라우드 서비스 위험 관리, 보안대책, 서비스 수준 협약(SLA)


최근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안전하고 효율적인 SaaS(Software as a Service) 활용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공공부문 SaaS 이용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은 공공기관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거나 활용할 때 보안성, 신뢰성,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주요 기준과 절차를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공공부문 SaaS 이용 가이드라인에 포함된 클라우드 서비스 위험 관리 원칙 및 기준, 보안대책 수립 및 보안성 검토, 그리고 **서비스 수준 협약(SLA)**에 대해 상세히 설명합니다.


목차

  1. 클라우드 서비스 위험 관리 원칙 및 기준
    • 1.1 위험 관리 원칙
    • 1.2 위험 관리 기준
  2. 보안대책 수립 및 보안성 검토
    • 2.1 보안대책 수립
    • 2.2 보안성 검토 절차
  3. 맺음말 및 공공부문의 SaaS 활용 제안
  4. 서비스 수준 협약(SLA)의 정의와 구성 요소
    • 3.1 SLA의 주요 구성 요소
    • 3.2 SLA 작성 시 고려 사항


1. 클라우드 서비스 위험 관리 원칙 및 기준

공공기관에서 클라우드 서비스(SaaS)를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위험 관리 원칙과 기준을 기반으로 잠재적 위협을 사전에 식별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1.1 클라우드 서비스 위험 관리 원칙

  1. 위험 식별 및 평가
    • SaaS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에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이에 대한 정량적 및 정성적 평가를 수행합니다.
    • 예: 데이터 유출, 서비스 중단, 컴플라이언스 위반 등
  2. 위험 감소 대책 마련
    • 식별된 위험에 대해 적절한 **완화 대책(보안 도구, 백업, 암호화 등)**을 마련합니다.
  3. 위험 모니터링 및 재평가
    • SaaS 서비스 운영 중 지속적으로 위험을 모니터링하며, 환경 변화에 따라 위험 평가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합니다.
  4. 책임 분담 명확화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간의 책임 분담 구조를 명확히 정의합니다.
    • 예: 데이터 보호는 제공자 책임,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보안 관리는 이용자 책임

1.2 클라우드 서비스 위험 관리 기준

가이드라인은 위험 관리의 체계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제시합니다:

구분설명
데이터 보호서비스 제공자(SaaS)가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기술적, 관리적 보호조치를 제공해야 함.
서비스 안정성서비스 가용성(Availability) 및 연속성을 보장하고, 장애 발생 시 신속히 복구할 수 있는 계획 마련.
컴플라이언스 준수개인정보 보호법, 전자정부법 등 관련 법규와 공공기관 내부 규정을 준수할 수 있는 환경 마련.
취약점 관리정기적으로 보안 취약점 스캔 및 테스트를 수행하고, 발견된 취약점을 신속히 조치할 수 있는 프로세스 필요.


2. 보안대책 수립 및 보안성 검토

2.1 보안대책 수립

공공기관은 SaaS 도입 및 이용 시 다음과 같은 보안대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1. 데이터 암호화
    • 저장 및 전송 중인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암호화 기술을 적용.
    • 예: TLS(전송 계층 보안), AES(고급 암호화 표준) 등
  2. 접근 제어 강화
    • 사용자별 권한을 설정하여 민감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 최소화 원칙(Least Privilege) 적용.
  3. 이중 인증(Multi-Factor Authentication, MFA)
    • SaaS에 접근하는 계정을 보호하기 위해 2단계 인증 또는 생체 인증 기술 활용.
  4. 로그 모니터링 및 감사
    • 사용자 활동 및 서비스 이용 기록을 로그 형태로 저장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점검.
  5. 백업 및 복구 계획
    •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데이터 백업복구 계획을 마련.

2.2 보안성 검토 절차

공공기관은 SaaS 서비스 도입 전에 보안성을 사전 검토해야 합니다.

  1. 보안 요구사항 정의
    • 서비스의 성격에 맞는 보안 요구사항을 정의합니다.
    • 예: 데이터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요구사항
  2. 보안 평가 수행
    • SaaS 제공자가 **국제 보안 인증(ISO 27001, SOC 2 등)**을 준수하는지 확인.
    • 외부 침투 테스트취약점 점검을 통해 서비스의 보안성을 확인.
  3. 보안성 검토 보고서 작성
    • 보안성 검토 결과를 문서화하여 위험 요소와 대응 방안을 명확히 기록.


3. 서비스 수준 협약(SLA)의 정의와 구성 요소

**서비스 수준 협약(SLA, Service Level Agreement)**은 공공기관과 SaaS 제공자 간의 계약으로, 서비스 품질, 보안, 가용성, 성능서비스 수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정의합니다.


3.1 SLA의 주요 구성 요소

  1. 서비스 가용성 (Availability)
    • 서비스가 이용 가능한 시간을 퍼센트(%)로 정의.
    • 예: “월간 가용성 99.9% 이상 보장”
  2. 응답 시간 (Response Time)
    • SaaS 서비스의 요청에 대한 응답 속도 기준.
    • 예: “모든 요청에 대해 1초 이내 응답”
  3. 장애 복구 시간 (Recovery Time Objective, RTO)
    • 서비스 장애 발생 후 복구에 필요한 최대 시간.
    • 예: “장애 발생 시 2시간 내 복구”
  4. 데이터 복구 지점 (Recovery Point Objective, RPO)
    • 데이터 손실을 허용할 수 있는 최대 시간.
    • 예: “백업 주기를 기준으로 최대 5분 데이터 손실 허용”
  5. 보안 조치
    • 데이터 보호 및 접근 제어에 대한 보안 기준.
    • 예: “사용자 데이터 암호화 및 정기적 취약점 테스트 수행”

3.2 SLA 작성 시 고려 사항

  1. 책임 분담 정의
    • 데이터 관리, 서비스 제공, 장애 대응에 대한 각 당사자의 책임을 명확히 구분.
  2. 가용성 및 장애 복구 보장
    • **장애 복구 계획(DR)**과 서비스 가용성 기준을 포함.
  3. 위반 시 페널티 명시
    • SLA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위약금 또는 보상 조항 명시.
  4. 정기 리뷰 및 업데이트
    • 서비스 환경 변화에 따라 SLA를 주기적으로 검토하고 수정.


4. 맺음말 및 공공부문의 SaaS 활용 제안

공공부문 SaaS 이용 가이드라인은 클라우드 서비스의 도입과 운영 시 안전성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체계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1. 위험 관리: 잠재적 위협을 사전에 식별하고, 책임 분담 구조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2. 보안 대책: 암호화, 접근 제어, 백업 등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를 철저히 수행해야 합니다.
  3. 서비스 수준 협약(SLA): 서비스 가용성, 응답 시간, 복구 목표 등 서비스 품질 기준을 명확히 정의해야 합니다.

미래 제안:

  • AI 기반 모니터링: AI 도구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위험을 모니터링하고 대응.
  • SaaS 인증 강화: 공공기관에 적합한 SaaS 제공자를 선택하기 위한 인증 제도를 강화.

이러한 원칙과 절차를 준수하면, 공공기관은 효율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과 함께 보안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930 Blog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