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지향 분석 설계(OOA/OOD)란 무엇인가? — 현실을 닮은 소프트웨어의 구조화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객체지향(Object-Oriented)**은 단순한 프로그래밍 방식이 아닙니다.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구조화하여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사고방식이자 전략입니다.

이 글에서는 객체지향의 핵심 개념부터, **분석(Object-Oriented Analysis, OOA)**과 **설계(Object-Oriented Design, OOD)**의 차이와 실제 적용 사례까지 정리해봅니다.


📌 1. 객체지향(Object-Oriented)이란?

객체지향은 현실 세계의 개념을 소프트웨어 안으로 가져온 패러다임입니다.
사람, 물건, 개념 등을 **객체(Object)**라는 단위로 표현하고,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문제를 해결합니다.

객체지향의 4대 핵심 개념

개념설명
캡슐화(Encapsulation)데이터와 메서드를 하나의 단위로 묶고, 외부에 필요한 것만 공개
상속(Inheritance)기존 클래스의 속성과 동작을 물려받고 확장
다형성(Polymorphism)동일한 메시지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반응
추상화(Abstraction)복잡한 현실 세계를 핵심 속성만 뽑아 단순화

🧠 2. 객체지향 분석(Object-Oriented Analysis, OOA)

객체지향 분석은 요구사항을 객체 관점에서 해석하는 작업입니다.
즉, **무엇을 해야 하는지(What)**를 객체 중심으로 모델링합니다.

✔️ 분석 단계의 주요 활동

단계내용
문제 도메인 파악비즈니스 용어와 흐름을 이해
객체 도출요구사항에서 실세계 개념을 추출해 객체로 전환
클래스 식별유사한 객체를 묶어 클래스 도출 (예: 고객, 주문, 제품)
속성과 행위 정의객체가 갖는 상태와 행동 정의
관계 설정객체 간 연관, 집합, 상속 관계 모델링

📌 분석 산출물 예시

  • 클래스 다이어그램 (UML)
  •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 상태 다이어그램

💡 분석의 목적은 코드를 짜기 위한 게 아니라, “문제를 객체로 이해”하는 데 있다!


🏗️ 3. 객체지향 설계(Object-Oriented Design, OOD)

객체지향 설계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구체화하는 단계입니다.
즉, 어떻게(How) 개발할지를 설계합니다.

✔️ 설계 단계의 주요 활동

단계내용
클래스 구조 정교화클래스의 책임과 역할 재정의
인터페이스 설계모듈 간 통신 방식 정의
상속/구성 설계상속 계층 구조 설계 또는 조합 방식 결정
패턴 적용설계 패턴(예: 전략 패턴, 옵저버 패턴 등) 활용
디자인 원칙 적용SOLID, KISS, DRY 등 원칙을 반영

📌 설계 산출물 예시

  • 클래스 다이어그램 (with 메서드와 속성)
  • 시퀀스 다이어그램
  • 패키지 다이어그램

🔁 4. OOA vs OOD: 차이점과 연결

항목객체지향 분석 (OOA)객체지향 설계 (OOD)
목적문제 도메인을 이해하고 모델링소프트웨어 구조를 구체화
초점“무엇을 해야 하는가”“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주요 요소실세계 개념 → 객체클래스, 메서드, 인터페이스 구조
결과물요구사항 기반 클래스 정의설계 기반 클래스 구조와 관계 정의
도구유스케이스, 클래스 다이어그램클래스, 시퀀스,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 분석은 현실을 추상화하는 작업이고, 설계는 그 추상화를 시스템에 맞게 구체화하는 작업입니다.


🧩 5. UML로 객체지향 분석 설계 표현하기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은 객체지향 분석 설계를 시각화하는 대표적인 표준 언어입니다.

다이어그램역할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사용자와 시스템의 상호작용 정의
클래스 다이어그램클래스 간의 구조적 관계 표현
시퀀스 다이어그램객체 간 메시지 흐름 표현
활동/상태 다이어그램객체의 행동 및 상태 변화 표현

예시:

plaintext

+-------------+
| Customer |
+-------------+
| name |
| email |
+-------------+
| login() |
| purchase() |
+-------------+

💼 6. 객체지향 분석 설계가 잘 된 사례

✔️ 전자상거래 시스템

  • 분석: 고객, 주문, 상품, 결제 등 객체 도출
  • 설계: OrderService, PaymentGateway, ProductCatalog 등의 서비스 클래스 설계
  • 설계 패턴 적용: 전략 패턴(결제 수단 전략), 옵저버 패턴(주문 상태 변경 알림) 등

✔️ 은행 시스템

  • 분석: 계좌, 고객, 거래, 카드 등의 객체 파악
  • 설계: 계좌 유형별 상속 구조(저축계좌, 예금계좌), 트랜잭션 관리 시스템 설계

🧠 7. 객체지향 분석 설계 실무 팁

✅ 클래스는 “역할(Role)”을 기준으로 나눠라

  • “사람”이 아니라 “회원(Member)” 혹은 “구매자(Buyer)”처럼 역할로 객체를 구분하는 것이 설계에 효과적

✅ SRP(단일 책임 원칙)를 지켜라

  • 하나의 클래스가 너무 많은 기능을 갖지 않도록 주의

✅ 도메인 중심으로 설계하라 (DDD)

  • 기술이 아닌 업무 개념 중심으로 객체를 도출해야 유연한 구조가 가능

✅ 설계는 끝나는 게 아니라 진화하는 것

  • 요구사항이 바뀌면 설계도 바뀌어야 한다. 설계는 살아있는 구조물!

✅ 결론: 객체지향 분석 설계는 ‘좋은 소프트웨어의 뼈대’다

객체지향 분석 설계는 단지 코드를 짜기 위한 사전 단계가 아니라,
현실을 구조화하여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고차원의 사고과정입니다.

✨ 기억할 것

  • OOA는 문제를 이해하고 객체로 나누는 과정
  • OOD는 그 객체들을 어떻게 연결하고 동작시킬지 정하는 과정
  • 두 과정이 잘 이뤄져야 유연하고 유지보수하기 쉬운 소프트웨어가 탄생한다!

📌 “좋은 설계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 좋아지고, 나쁜 설계는 시간이 지날수록 고통이 된다.”


2930 Blog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