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개발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이 코드를 다시 짜야 할까…?” 하는 고민을 해본 적이 있을 겁니다.
처음엔 깔끔하던 코드도 기능이 늘어나고, 사람이 바뀌고, 시간이 지나면서 복잡하고 관리하기 어려운 상태로 변합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리팩토링(Refactoring)**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프트웨어 리팩토링이란 무엇인지, 왜 해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실무에서의 적용 방법과 주의할 점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 1. 리팩토링이란?
**리팩토링(Refactoring)**은 소프트웨어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한 채, 코드의 구조를 개선하는 작업입니다.
즉, 겉으로 보기에 변화는 없지만, 내부적으로는 훨씬 더 깔끔하고 유지보수가 쉬운 코드로 바꾸는 것이죠.
📌 마틴 파울러(Martin Fowler)의 정의:
“리팩토링은 소프트웨어의 외부 동작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내부 구조를 변경하여 코드를 개선하는 기법이다.”
🧱 2. 리팩토링을 해야 하는 이유
이유 | 설명 |
---|---|
✅ 유지보수 용이성 향상 | 코드를 이해하기 쉽게 만들면, 버그 수정과 기능 추가가 쉬워짐 |
✅ 가독성 개선 | 협업 시 타인이 코드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음 |
✅ 중복 제거 | 동일한 코드를 여러 번 쓰는 대신, 재사용 가능한 구조로 개선 |
✅ 버그 예방 | 구조화된 코드는 예상하지 못한 오류 발생 가능성이 줄어듦 |
✅ 테스트 용이성 확보 | 잘 나눠진 코드일수록 유닛 테스트가 쉬움 |
⚠️ 3. 리팩토링이 필요한 코드의 신호들 (코드 스멜, Code Smell)
‘코드 스멜’이란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은 코드 구조나 패턴을 의미합니다.
🔍 대표적인 코드 스멜
스멜 종류 | 설명 | 예시 |
---|---|---|
중복 코드 | 동일한 코드가 여러 위치에 반복됨 | 같은 계산 로직이 여러 클래스에 존재 |
긴 함수(Long Method) | 한 함수가 너무 많은 일을 함 | 100줄짜리 메서드 |
과도한 클래스 | 불필요하게 클래스를 나눔 | 역할이 명확하지 않은 클래스 |
데이터 중심 클래스 | 데이터만 있고 기능이 없음 | DTO인데 비즈니스 로직도 포함 |
긴 매개변수 목록 | 함수 인자가 너무 많음 | function(a, b, c, d, e, f) |
💡 이런 냄새가 풍기면, 리팩토링할 때가 됐습니다!
🛠️ 4. 대표적인 리팩토링 기법
📌 함수(메서드) 수준
기법 | 설명 |
---|---|
Extract Method | 긴 코드를 잘라내서 별도 함수로 분리 |
Inline Method | 지나치게 짧은 함수는 본문에 통합 |
Rename Method | 함수명을 직관적으로 변경 |
📌 클래스 수준
기법 | 설명 |
---|---|
Extract Class | 하나의 클래스가 너무 많은 책임을 질 때 분리 |
Move Method/Field | 해당 클래스보다 더 어울리는 클래스로 이동 |
Encapsulate Field | 직접 접근을 방지하고 getter/setter 제공 |
📌 기타
기법 | 설명 |
---|---|
Replace Magic Number with Constant | 매직 넘버 → 의미 있는 상수로 변경 |
Introduce Parameter Object | 여러 파라미터 → 하나의 객체로 통합 |
Remove Dead Code |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코드 제거 |
💡 5. 리팩토링의 좋은 습관
✅ 1) 테스트 기반 리팩토링(Test-Driven Refactoring)
- 단위 테스트가 먼저 작성되어 있어야 안심하고 구조 변경 가능
- 리팩토링 후에도 기능이 바뀌지 않았다는 보증 수단
✅ 2) 작은 단위로 변경
- 한 번에 구조 전체를 바꾸는 건 위험
- 변경 → 테스트 → 커밋, 반복
✅ 3) 리팩토링과 기능 개발은 분리
- 기능 추가와 구조 변경을 동시에 하면 버그가 생기기 쉬움
- 가능하면 기능 추가 전후로 별도의 리팩토링 시간 확보
✅ 4) 커밋 로그를 명확하게 남기기
- “기능 추가”와 “리팩토링”은 구분해서 커밋
- 예:
refactor: extract Customer class from Order logic
⚙️ 6. 리팩토링 도구들
▶️ IDE 내장 기능
도구 | 설명 |
---|---|
IntelliJ IDEA | 자동 리팩토링 기능, 메서드 추출, 클래스 이동 등 |
VS Code | 리팩토링 확장 플러그인, Rename, Extract 기능 지원 |
Eclipse | 다양한 자동 리팩토링 도구 포함 |
▶️ 정적 분석 도구
도구 | 역할 |
---|---|
SonarQube | 코드 품질 분석 및 코드 스멜 감지 |
ESLint / Pylint |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코드 스타일 검사 |
Refactoring.Guru | 디자인 패턴 및 리팩토링 학습 자료 제공 사이트 |
📍 7. 리팩토링 적용 사례 (Before → After)
예제: 함수 리팩토링
📌 Before
pythondef calculate_total(price, tax, discount):
total = price + (price * tax) - discount
return total
📌 After
pythondef apply_tax(price, tax):
return price + (price * tax)
def apply_discount(amount, discount):
return amount - discount
def calculate_total(price, tax, discount):
return apply_discount(apply_tax(price, tax), discount)
💡 기능은 동일하지만 구조는 훨씬 더 명확하고 테스트하기 쉬움!
🎯 8. 리팩토링의 목표는 ‘성능’이 아니다
리팩토링의 주 목적은 성능 개선이 아니라, 코드의 구조와 품질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물론 리팩토링 결과 성능이 개선되는 경우도 있지만, 과도한 최적화는 오히려 코드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먼저 깨끗하게 만들고, 그 다음 빠르게 만든다.” — 마틴 파울러
✅ 결론: 리팩토링은 코드에 대한 ‘애정 표현’이다
리팩토링은 단순한 코드 정리가 아닙니다.
코드를 이해하고, 다시 정리하고, 더 나은 상태로 만드는 창조적인 과정입니다.
좋은 리팩토링은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고, 협업을 원활하게 하며, 개발자의 삶을 더 낫게 만듭니다.
🔑 요약
- ✨ 리팩토링: 기능은 그대로, 구조는 더 깔끔하게
- 🧠 코드 스멜이 보이면 개선의 기회
- 🧪 테스트는 리팩토링의 안전장치
- 🔄 작은 단위로 반복하라
- 🧰 좋은 도구를 활용하라
2930 Blog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